"뽑을 사람 없으면, 무효표라도 던져라"

2022. 3. 9. 15:04시사

인터넷에서 몇 년간 본 글이다. 뽑을 사람이 없으면 무효표라도 던져서, 정치인들에게 경각심을 줘야 한다는 말이다.

 

무효표의 비중은 어느 정도인가? 선관위에 가서 찾아보았다. 전국 단위로 치러져 공인된 대통령 선거 결과만을 모아 보았다.

 

무효표의 비중은 1956년이 예외적로 높은데, 선거 후보인 신익희가 선거 기간 중 사망하였으나 그에 투표한 유권자가 많았기 때문이다. 무효표의 비중은 직선제 도입 후에 점차 줄어들었다. 특히 최근 세 번의 선거에서는 0.3%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선거에는 지지율이 어느 정도 됐던 후보의 사퇴로 인해 무효투표가 그보다 증가할 가능성은 있다.

 

선관위는 무효표가 잘못된 방식으로 기표하거나 투표 용지를 훼손한 것인지, 사퇴자를 투표한 것인지, 아무도 뽑지 않는 등 의도적으로 무효표로 낸 것인지 등을 구분하지 않는다.

 

무효표에 관한 데이터가 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무효표의 정치적 의미에 대해 정치인들이 추산하기는 다소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뽑을 사람이 없어서 무효표를 던지는 인구는 최근의 추세로 봐서는 아무리 최대로 잡아도 유권자의 0.3% 내외에 머물고 있다. 반면 기권자의 규모는 20%대에서 30%대를 오간다. 정치적으로 우선순위를 둔다면 아무래도 기권자가 더 높을 것이다. 무효표를 다루는 기사보다, 투표율(기권율과 묶인 개념)을 다루는 기사가 훨씬 많은 것처럼 말이다.

 

정치인들에게 '무효표를 던지는 유권자'를 자신의 잠재적인 투표자로 만들기 보다는, 그 수십배가 넘는 '기권자' 중에 자신에게 잠재적으로 투표할 가능성을 높이는 게 우선순위가 높을 것이다. 선거에 나가서 무효표라도 던지는 말의 속내는, 잠재적으로 나에게 표를 던질 수 있는데도 투표를 하지 않는 유권자를 독려하는 데 있을 것이다. 일단 선거에 나오면 무효표를 던지기 보다는 어딘가 투표할 가능성이 더 높아질 테니까 말이다. 투표율의 등락에도 전체 유권자 대비 무효투표의 비중은 비슷하게 유지되는 걸 보면 말이다.

 

전체 유권자 말고, 총투표(유효투표+무효투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무효표라도 던지는 사람들의 추세는 더 줄어드는 것으로 보인다. 이 부분은 2022년 대선 결과 자료를 보고 좀 더 보충할 필요가 있겠다.

 

 

자료 출처

중앙선관위 http://info.nec.go.kr/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3월 3주차 NPR 주요 보도 모음  (0) 2022.03.20
2022년 3월 3주차 NHK 주요 보도 모음  (0) 2022.03.20
2022년 2월 26일 메모  (0) 2022.02.26
2022년 2월 13일 메모  (0) 2022.02.13
2022년 2월 12일 메모  (0) 2022.02.13